top of page
MediEdu Academy
로그인
홈
도서
논문
보고서
칼럼
동영상
슬라이드
사이트 규정
More
Use tab to navigate through the menu items.
전체 카테고리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0:00
일련번호-Y300-M310-해 넘긴 의정 갈등 과제는
2025년 4월 23일 EBS '조기대선, 교육의 미래를 묻는다' 코너의 '해 넘긴 의정 갈등 과제는'이라는 주제로 인터뷰한 영상입이다. 영상 분량은 10분이다.
미리보기
미리보기
₩
최저 ₩10,000
최저 ₩10,000
37:40
일련번호-Y300-M409-역량기반평가란 무엇인가
이 영상은 2013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학술세미나 발표 영상이다. 이 슬라이드는 역량기반평가(CBA: Competency-Based Assessment)의 개념과 의학교육에서의 적용 필요성을 다룬다. 기존의 지식 중심 평가가 실제 진료 역량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역량의 정의, 구분, 평가 방법론과 함께 국제적 동향과 국내 교육 현실을 비교 분석한다. 특히 의사 국가시험과 교육과정 간의 연계 필요성을 강조하며, 역량기반평가가 단순한 평가를 넘어 교육의 방향성과 질을 개선하는 핵심 수단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총 37분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리보기
미리보기
₩
최저 ₩10,000
최저 ₩10,000
29:39
일련번호-Y300-M408-교육자로서의 전공의
이 슬라이드는 전공의를 단순한 수련생이 아닌 교육자로서의 역할로 조명하며, 그 중요성과 필요 역량을 다룬다. 전공의는 실제 교육의 많은 부분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교육 방법에 대한 체계적 훈련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미국, 영국, 캐나다의 사례를 통해 전공의 교육역량 개발의 필요성과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며, 한국의 현실에서도 전공의가 교육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교육적 기반 마련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총 30분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리보기
미리보기
₩
최저 ₩10,000
최저 ₩10,000
38:45
일련번호-Y300-M407-자기조절학습-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이 영상은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의 개념과 실천 전략을 설명한다. 총 영상 분량은 약 38분 26초이며, 학습 목표 설정, 동기 유지, 시간 관리, 자기평가 등 학습 전 과정에서의 주도성과 반성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의과대학처럼 학습량이 많고 자기주도적 학습이 필수적인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 역량은 학업 성취와 전문성 향상의 핵심임을 제시한다. 2016년 제작된 영상이지만 지금도 내용은 유용합니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17:19
일련번호-Y300-M309-지속적 질 향상을 위한 ASK2019 중간평가제도
이 영상은 의학교육 인증기준인 ASK2019의 중간평가제도를 통해 지속적 질 향상을 추구하는 내용을 다룬다. 총 영상 분량은 약 14분 33초이며, 중간평가는 단순한 인증 절차가 아니라 각 의과대학이 자율적으로 교육의 질을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기제로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대학별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맞춤형 개선 전략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학생 중심의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함을 강조한다.
동영상 보기
동영상 보기
23:39
일련번호-Y300-M308-의과대학 사회적 책무성 강화를 위한 의평원 역할론
이 영상은 의과대학의 사회적 책무성을 강화하기 위한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의 역할에 대해 다룬다. 총 영상 분량은 약 20분 40초이며, 공공보건, 지역사회 연계, 건강 형평성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의학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의평원은 교육과정 평가를 통해 의과대학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유도하며, 단순 인증을 넘어 미래의료와 공공성을 고려한 평가체계로 전환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미리보기
미리보기
₩
최저 ₩10,000
최저 ₩10,000
50:30
일련번호-Y300-M406-역량기반교육의 이해(제2부)-역량기반 평가
역량기반교육(CBE: Competency-Based Education) 영상은 제1부와 2부로 나누어져 있다. 이 영상은 역량기반 평가를 소개하는 2부 영상이다. 학습자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며, 단순 지식 확인을 넘어 실무 수행 능력, 태도, 문제해결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을 강조한다. 루브릭, 포트폴리오, 직접 관찰 등 다양한 평가 도구와 방법이 소개된다. 공정성과 신뢰성을 갖춘 평가 설계를 통해 교육성과를 정확히 진단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간호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한 강의 영상으로 일부 내용은 간호대학 교육에 맞추어져 있다. 총 50분 분량의 영상이다.
미리보기
미리보기
₩
최저 ₩10,000
최저 ₩10,000
46:43
일련번호-Y300-M405-역량기반교육의 이해(제1부)-개념과 교과목 설계
역량기반교육(CBE: Competency-Based Education) 영상은 제1부와 2부로 나누어져 있다. 이 영상은 역량기반교육의 개념과 의학교육에서의 교과목 설계 원리를 소개하는 1부 영상이다. 전통적 교육이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둔다면, 역량기반교육은 실제 수행 능력과 태도에 초점을 맞춘다. 학습자의 성취 목표를 명확히 정의하고, 평가 가능한 행동 지표에 따라 교과목을 설계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다. 간호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한 강의 영상으로 일부 내용은 간호대학 교육에 맞추어져 있다. 총 46분 분량의 영상이다.
미리보기
미리보기
₩
최저 ₩10,000
최저 ₩10,000
46:27
일련번호-Y300-M404-인지주의 학습이론과 의학교육
이 영상은 인지주의 학습이론을 의학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학습자는 정보를 능동적으로 처리하고 구조화함으로써 의미를 형성하며, 교사는 이러한 인지 과정을 촉진해야 한다. 주의집중, 기억, 이해,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교수 전략이 소개되며, 임상교육에서도 학습자의 사고 구조를 고려한 교육 설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총 46분 분량의 영상입니다.
더보기
bottom of page